삼한시대에 축조된 김제 벽골제, 밀양 수산제와 함께 우리나라 최고의 저수지로 본래 "임지"라 하였습니다. 고려 성종 11년(992)에 군현의 명칭을 개정할 때 제천을 '의원현' 또는 '의천'이라 하였는데, 그 후에 제천의 옛 이름인 '의'를 붙여 의림지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축조된 명확한 연대는 알수 없으나 구전에는 신라 진흥황 (540~575)때 악성 우륵이 용두산에서서 흘러 내리는 개울물을 막아 둑을 만든 것이 이못의 시초라고도 하며, 그후 700년이 지나 현감 "박의림"이 4개 군민을 동원하여 연못 주의를 3층으로 석축을 해서 물이 새는 것을 막는 한편 배수구 밑바닥 수문은 수백관이 넘을 정도의 큰돌을 네모로 다듬어 여러층으로 쌍아 올려 수문기둥을 삼았고 돌바닥에는 " 박의림"현감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합니다.
호반둘레 약 2km,호수면 158,677m2, 저수량 6,611,891m3, 수심 8~13m의 대수원지로 몽리면적은 289.4정보이며, 보수당시 수구를 옹기로 축조한 흔적이 발견되어 삼한시대 농업기술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는 수리시설보다는 유원지로서 그 명성을 더해가고 있는데 경승지로 호수 주변에 순조 7년(1807)에 새워진 '영호정'과 1948년에 건립된 '경호루' 그리고 수백년을 자란 소나무와 수양버들, 30m의 자연폭포 등이 어우러져 풍치를 더하고 있습니다.
특히, 겨울철 및 해빙기에 잡히는 공어(빙어)는 담백한 맛의 회어로 각광받고 있는 명물이며, 순채는 임금의 수라상에 올릴만큼 유명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3대 악성의 한분이며 가야금의 대가인 "우륵"선생이 노후에 여생을 보낸 곳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가야금을 타던 바위 우륵대(일명 제비바위, 연암, 용바위)와 마시던 "우륵정"이 남아 있습니다.
제천시에 북쪽으로 약 10리를 가면 관광지로 유명한 의림지가 나타난다.
옛날 의림지가 생기기 전에 이곳에 부자집이 있었다. 하루는 이집에 스님이 찾아와 시주할 것을 청하였다. 그런데 이집 주인은 탐욕스러울 뿐 아니라 심술도 또한 사나왔다. 한동안 아무 대꾸도 없으면 스님이 가버리려니 했는데 탁발스님은 가지않고 목탁만 두드리고 있는 것이었다.
심술이난 집주인은 거름 두엄에 가서 거름을 한 삽 퍼다가 스님에게 주었다. 스님은 그것을 바랑에 받아 넣고 선 머리를 한 번 조아리더니 발길을 돌리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것을 집안에서 보고 있던 며느리는 얼른 쌀독에 가서 쌀을 한바가지 퍼다가 스님을 뒤쫓아가 스님에게 주며 시아버지의 잘못을 빌었다. 스님은 그것을 받더니 며느리에게 이르는 것이었다.
조금 있으면 천둥과 비바람이 칠터이니 그러면 빨리 산속으로 피하되 절대로 뒤돌아 보면 안된다고 하였다.
이 소리를 듣고 며느리는 집으로 돌아왔다. 그랬더니 집안에서는 집주인이 하인을 불러 놓고 쌀독의 쌀이 독이 났으니 누구의 소행인지 대라고 호통을 치고 있는 것이 었다. 며느리는 시아버지에게 자기가 스님이 하도 딱해 퍼다 주었다고 아뢰었다. 시아버지는 크게 노하며 며느리를 뒷광에 가두더니 문에 자물쇠를 채워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해 버렸다.
그런데 갑자기 번개와 천둥이 울리고 세찬 바람과 함께 비가 쏟아지기 시작했다. 며느리는 광속에서 안절부절 못하는데 더 요란하게 번개가 번쩍하고 천둥이 치더니 잠겼던 광문이 덜컹 열리는 것이었다. 며느리는 탁발승의 말이 생각나 얼른 광속을 빠져나와 동북쪽 산골짜기로 도망치기 시작했다. 얼마쯤 달려가던 며느리는 집에 남아 있는 아이들이 생각이 나서 뒤돌아 보지 말라던 스님의 말을 잊고 집이 있는 쪽을 뒤돌아 보았다.
그 순간 천지가 무너지는 듯한 굉음이 울리더니 며느리의 몸은 돌로 변해갔으며 집이 있던 지리는 땅속으로 꺼져서 온통 물이 괴고 말았다. 물이 고인 집터가 의림지이며 며느리가 변해서 돌이 된 바위는 우륵이 가야금을 타던 제비바위(연자암)근처 어디엔가 서 있다는 것이었다.
문화재 | 영호정(순조7년 1807년 건림), 경호루(1948년 건림), 홍사구의 묘(의병장, 1896년 전사) |
---|---|
축 제 | 풍년기원 정월대보름축제 - 매년 음력 정월대보름날을 전후하여 문화관광축제로 열리고 있습니다. |
등 산 | ① 까치산(473m)1개코스 1시간 ~ 2시간 ② 용두산(871m)3개코스 1시간 30분 ~ 4시간 |
놀이시설 | 의림파크랜드, 활터, 수영장, 국궁장, 골프연습장, 유선장 |
공어회
의림지의 명물인 공어는 산채로 초고추장에 찍어 먹는 회어로서 관광객에게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먹을 때는 꼬리와 머리를 휘어 잡고 초고추장을 찍어야 옷을 버리지 않습니다. 일년생 물고기로서 겨울철 및 해빙기에 알을 낳기 위해 수면 가까이로 올라와 잡을 수 있는 공어는 4월 이후에는 깊은 물속으로 들어가 그 맛을 볼 수 없습니다. 10cm안팎의 담회색으로 옆구리에 검은 빛과 은백색 줄무늬가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반투명의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순채요리
호수(연못)에서 자생하는 여러해살이 물풀로 맑고 투명한 우무같은 한천질(점액질)이 두텁게 감싸고 있고 환경보호실물 제5호로 지정되어 있는 독특한 식물로 임금님 수라상에 올렸다는기록이 있습니다. 순채는 당뇨를 치료하고 열을 풀어주며 장과 위를 두텁게 해주고 백가지 약독을 풀어준다 하며, "약초지식"에는 순채요법으로 위암을 치료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순채를 이용한 요리에는 순채요리, 순채전골, 순채 오미자차, 순채 불고기, 순채립스틱(갈비), 순채장국수등 다양한 음식이 있습니다.
황기국수
체력증강의 기본 생약인 황기에서 추출한 엑기스를 첨가하여 반죽한 기능성국수로, 면발이 쫄깃쫄깃하고 부드럽습니다(황기마당촌, 043-642-6162)
산장식당 (644-9140) |
청포도휴게소가든 (646-6659) |
등나무촌 (644-8817) |
솔밭레스토랑 (648-3308) |
의림광장식당 (643-3865) |
솔밭식당 (647-9424) |
낙원식당 (643-64300 |
용두산정 (645-8489) |
두무골산장 (647-1733) |
낙산가든 (642-5908) |
진성가든 (652-9400) |
민속가든 (644-5466) |
춘천공원닭갈비 (647-3448) |
독도숯불갈비 (648-5495) |
동명식당 (646-0539) |
한정식동궁 (652-9955) |
밤나무골가든 (642-0328) |